AutoCad/Excel/ETC

[지적도]국가공간정보포털 오픈마켓을 이용한 지적도 제작

일반人 2020. 9. 11. 10:43

1단계 : 국가공간정보포털 오픈마켓에서 지적도 다운로드

아래의 링크에 접속하여, 원하는 지역의 지적도를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.

http://data.nsdi.go.kr/dataset/12771

 

연속지적_전국 - 오픈마켓

전산화된 지적도 및 임야도의 도면상 경계점을 연결하여 연속된 형태로 작성한 도면정보(측량자료로 사용하지 못하는 참조용 도면정보)

data.nsdi.go.kr

2단계 : *.shp 파일을 *.dxf 파일로 변환

1) 아래의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.

shp2dxf.exe
0.44MB

2) C드라이브에 새폴더를 만들고 폴더명은 shp2dxf라고 한다.(폴더명은 임의지정가능, 단 영어로)

3) 새로만든 C:\shp2dxf 경로의 폴더에 다운받은 shp2dxf.exe파일을 넣는다.

4)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고 위 폴더에 넣는다.

5)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한다. (윈도우키+R  > cmd 입력)

6) C:\Users\사용자명> 이라는 문구가 뜬다.

7) cd..    을 두번 입력하여 C:\ 로 이동한다.

8) cd shp2dxf (띄어쓰기 필수) 를 입력하여 C:\shp2dxf 폴더로 이동한다.

9) shp2dxf 지적도파일명 저장할파일명 (띄어쓰기 필수)

   여기서 지적도파일명은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다운받은 *.shp 파일의 이름(*부분) 이며,

   저장할파일명은 *.dxf로 변환될 파일 이름이다.

10) *.dxf 파일이 생성 완료 되어, 캐드로 편집이 가능하게 되었다.

11) 파일을 열었을때, 아무런 객체도 보이지 않는다면  zoom > e  명령어를 삽입하여 화면에 나타나도록 하면 된다.

 

3단계 : 캐드에서의 추가기능(지번 주소 생성)

1)아래의 sv.LSP 파일을 다운로드한다.

sv.LSP
0.00MB

2) 오토캐드에서 생성된 파일은 연 후, appload 명령어 입력 후 다운로드한 sv.LSP을 로드한다.

3) 오토캐드 명령어로 sv를 입력하고, 지번을 불러올 구역의 객체를 선택하면 총 5개의 레이어가 생성된다.

4) 이중 JIBUN 레이어만 제외하고 보기를 꺼주면, 흔히 아는 구 주소상 지번만 표시된다.

5) 글꼴이 없어 ???로 표시된다면, st 명령어를 입력하고 standard 스타일의 글꼴을 굴림체나 돋움체 등으로 바꿔주면 정상적으로 표시된다.

 

참고 : 시 단위의 지적을 편집할 경우, 객체의 수량이 많아 작업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.

이때, shp파일에서 원하는 구역만 추출하여 dxf파일로 변환하면 되는데, shp파일을 편집하는것은 QGIS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된다. 해당 내용은 다루지 않겠다.